V20을 집에 데려오다
최근에 V20으로 기기를 변경했어요. 노트7 참 마음에 드는 폰이었는데... 불안하기도 하고, 바꾸라니까 뭐...
같은 안드로이드 폰이라지만 처음엔 노트7보다 못한 느낌이라 불만이 많았는데 손에 익으니까 상당히 기본기에 충실하고 이것 저것 아기자기한 재미가 있는 폰이네요. 지금은 아주 만족스럽게 쓰고 있습니다. 특히 하이파이 오디오는 오오 감동.... 긴가민가했는데 확실히 음원의 해상도와 분리도가 좋아지고 노이즈가 줄어드네요. 뭐 차이를 확연히 느끼려면 출력을 상당히 올려야 하고 멀티 드라이브를 채용한 리시버가 있어야 할 것 같습니다. 어떻게 보면 좀 매니악한 장점인데... 다행히 번들 이어폰의 성능이 상당히 좋아서 V20 구매자들은 충분히 강화된 오디오 기능을 체감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번들 이어폰은 제법 괜찮은 성능입니다, 정가가 189,000원이라는데 그 정도는 아니고 10만원 전후의 리시버와 비슷한 수준으로 보입니다. 줄도 페브릭 재질이라 쉽게 망가지지도 않을 것 같고, 저는 몇번 테스트만 해보고 어머니 드렸더니 아주 좋아하시더라구요... 음악 소리가 다르게 들리신다며 ^^;;
아 오늘은 제품 전체적인 리뷰를 하려고 한건 아니니... 여기까지만....
광각 렌즈와 전문가 모드로 차별화된 카메라 성능 내세워
Quad DAC를 이용한 Hi-Fi 오디오 성능 외에 V20이 호평을 받고 있는 것은 바로 카메라 성능에 대한 부분입니다. 전면 광각 렌즈, 후면에는 표준 렌즈와 광각렌즈, 이렇게 총 3개의 렌즈를 탑재했을 뿐만 아니라 촬영 시 전문가 모드로 마치 DSLR이나 미러리스의 매뉴얼 모드 촬영을 하듯 각종 패러미터를 조절 가능합니다. 넓은 화각, 그리고 매뉴얼 촬영, 모두 스마트폰 카메라에서 뭔가 아쉬웠던 부분인데... 가려운 곳을 잘 긁어줬다고 할까... 그치만 이것도 분명 매니악한 장점이긴 해요 (...)
저는 사진을 잘 아는 사람은 아닙니다만 전문가 모드로 이것저것 만져보니 재미가 있더라고요... 근데 나는 이렇게 재밌는데, V20을 쓰는 지인 중 한 명은 전문가 모드에는 전혀 관심이 없는거 같네요. 어려워 보인다나... 뭐 실상 대다수 분들이 그럴거라고 생각을 합니다. 근데 그렇게 어렵진 않거든요... 그래서 나는 매뉴얼 촬영에 대해서는 전혀 아는 바가 없다!! 이런 분들을 대상으로 간단히 사진으로 조절 가능한 기능에 대해 간단히 소개만 드리려고 해요.
전문가 모드 (사진 촬영)
전문가 모드는 후면 카메라를 사용할 때만 활성화가 되는 기능입니다, 사실 V20에 처음 채용된 모드는 아니고 G4랑 G5에서도 지원이 되었던걸로 기억해요.
그래도 캡처 화면을 통해 간단히 설명을 드리도록 할게요. 방 안에 별 오브제가 없어서 보기 좀 흉하긴 합니다만 양해를... 오늘 종일 돌아다녔는데 밖에서 사진 좀 찍어올걸 그랬네요 ㅠㅠ
1. WB - White Balance, 색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탭입니다. 높을 수록 따뜻한 색, 낮을 수록 차가운 색을 볼 수 있게 됩니다.
2. Focus - 초점을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 동영상에서 보신 포커스 피킹 기능이 바로 이거에요.
3. EV - 노출 값을 조절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 촬영의 순간 카메라가 받아들이는 빛의 양 * 광감도에 의해 결정이 되는 개념이라고 보면 되는데 조리개값의 경우는 F1.8로 고정이 되기 때문에 V20에서는 ISO와 셔터스피드 값을 변환시켜서 노출 값을 조정하게 됩니다. 수치가 높을수록 사진이 밝아져요.
4. ISO - 감도입니다. 영화 같은데서 백색 반전 효과 같은걸 연상하셔서... 빛에 대한 민감성을 줄이거나 낮추는 개념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거 같네요. 높을수록 사진이 밝아집니다. 단 ISO가 너무 높으면 (1000 이상?) 노이즈 현상이 두드러지니 너무 높이지는 않으시는 걸 추천합니다.
5. 셔터 속도 - 사진 찍기 전 셔터가 열렸다 닫히는 시간을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값이 낮을수록 셔터스피드가 빠르다고 표현하며, 빛을 받아들일 수 있는 시간도 짧아지기 때문에 사진도 어두워집니다. 반면,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 피사체를 잔상없이 정확하게 잡아낼 수 있게 됩니다.
6. AE-L - 이건 노출 고정 버튼인데... 이 버튼을 누르지 않으면 EV, ISO, 셔터속도가 널뛰기를 해버립니다... 소프트웨어적으로 현재 카메라가 담고 있는 상황을 해석해서 적정값을 산출해내는 방식인거 같은데... ISO와 셔터 스피드 등을 원하는 값으로 고정시키지 못하면 답답하겠지요? 이 버튼을 누른 뒤에는 그게 가능합니다. 노출값은 조리개, 셔터 스피드, ISO 값을 계산해서 자동으로 산출이 됩니다.
(사진을 잘 아는 편이 아니라 틀린 설명이 있을수도 있습니다 ㅠㅠ)
▲1. WB 수치 조정 예시, 아이콘에서 볼 수 있듯이 5000K는 주광, 4000K는 실내등 정도의 색온도를 연출해줍니다.
▲2. 초점 수치 조정 예시 및 그 결과물
▲3. 노출값 조정 예시
▲4. ISO값 조정 예시
▲5. 셔터속도 조정 예시
마치며
감이 좀 오시나요? 안 오실 거에요 제가 잘 모르기도 하고 설명이 잘된 것도 아니고 ^^; 그래도 전문가 모드 틀어놓고 항목 하나 하나 만져보면 분명 뭔가 느낌이 오실 겁니다, 재미도 있을 거고요. V20 유저분들이 사진 찍는 즐거움에 푸욱 빠져보시길 바라며 오늘 글은 여기서 마칠게요.
'Gadget Re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논 엔바야 미니 DSB-100 리뷰 (0) | 2017.02.06 |
---|---|
웨스톤 MMCX 블루투스 케이블 리뷰 (10) | 2017.02.06 |
Sony MDR 1000X 첫 느낌 (Bose QC 35와의 비교, 사용기) (3) | 2016.09.29 |
갤럭시노트7 렌즈 커버 구입 (0) | 2016.09.26 |
Bose QC 35 사용기 (2) | 2016.09.03 |